코골이, 수면 무호흡증, 중이염, 축농증, 부정교합, 입 냄새 까지 모두 편도선염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평소 편도선이 자주 부어 비대해진 경우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하여 호흡과 수면에 장애가 생길 수 있고, 계속 입으로 숨을 쉬어 증상이 악화되면
부정교합까지 초래할 수 있어 지속될 경우,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중이염, 축농증, 부정교합, 입냄새 까지
모두 편도선염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평도 편도선이 자주 부어 비대해진 경우 코골이나
수면 무호흡증을 유발하여 호흡과 수면에 장애가 생길 수 있고,
계속 입으로 숨을 쉬어 증상이 악화 되면
부정교합까지 초래할 수 있어 지속될 경우,
수술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바이러스나 세균의 감염을 비대해진 편도를 치료하여 증상을 개선하는 수술로,
증상과 예상 합병증 등을 고려하여 절제술, 부분 절제술, 고주파 치료술 등의 방법으로 수술합니다.
편도선을 제거하면 안 된다는 의견도 있지만, 실제 편도선이 제대로 기능을 하는 나이는 약 5세 이하로, 이후 제거해도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어린이 편도는 면역기능의 일부를 담당합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편도절제술을 권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편도수술을 받지 않아 항생제 과다 투여나 성장장애, 안면 골격 변형 등의 문제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될 때에는 수술을 권유합니다.
누가 수술을 받으면 안 되나요? |
만 3세 이전에는 편도의 면역기능이 중요하여, 편도선 절제 수술을 하지 않습니다. |
누가 수술을 받아야 하나요? |
만 5세 이후라도 꼭 필요한 경우 수술을 합니다. - 일 년에 목감기/편도염을 7차례 이상 앓는 경우 - 항생제 알레르기나 부작용이 있어 편도염의 약물 치료가 어려운 경우 - 주기적인 발열, 구내염, 인후염 및 아데노이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 - 편도주위 농양이 2번 이상 발병한 경우 - 수면다원검사 상 폐쇄성 수면 무호흡이 확인된 경우 |
성인에서 편도선염은 목통증, 목 이물감, 입냄새, 코골이, 수면무호흡, 수면장애를 일으킵니다.
대부분 항생제 및 소염제 치료로 완치되나 수술이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누가 수술을 받아야 하나요? |
- 잦은 편도선염으로 일상 생활에 지장을 받는 분 - 비대한 편도로 숨길이 좁아져 코골이나 수면무호흡이 있는분 - 편도결석 등으로 입냄새나 이물감이 있는 분 - 편도주위 농양이 생겼던 분 -편도 종양으로 의심되는 한쪽 편도 비대가 있는분 |
코골이가 심하거나 잦은 편도선의 염증으로 중이염이나 충농증이 자주 재발하는 경우에는 수술을 통하여 제거하는 것이 증상 개선에 도움이됩니다.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 여부는 환자의 상태를 정밀검진 후 결정하게 됩니다.
마취방법: 전신마취 ㅣ 수술시간 : 약 40분
회복기간 : 약 7일 후
정상조직은 유지하고, 질환의 원인이 되는 편도만 제거하는 부분절제방법으로, 면밀한 검진을 통해 편도를 일부 남기는 것이 유리한 상황일 때 시행합니다.
PITA수술의 장점은 특수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편도의 조직만 제거하여 편도 피막을 보존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빠르게 일상생활 복귀가 가능합니다.
마취방법: 전신/부분마취 ㅣ 수술시간 : 약 30분
회복기간 : 약 3일 후
비대해진 편도선에 고주파 침으로 위축시키는 방법으로, 편도선을 절제하지 않기 때문에, 점막이나 주위 혈관의 손상을 최소화하여 통증이나 출혈을 줄일 수 있습니다.
단 편도선의 비대 정도와 증상을 고려하여 치료하며 무조건 고추파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마취방법: 전신/부분마취 ㅣ 수술시간 : 약 20분
회복기간 : 당일퇴원
편도 표면의 홈에 염증세포나, 점액 등이 고여 하얀색 알갱이로 변한 것을 편도 결석이라고 하는데, 통증과 구취, 염증의 원인이 됩니다.
충치가 없는데도 입 냄새가 심하게 나거나 목의 통증이 지속될 경우 편도결석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
편도결석은, 재발하지 않도록 결석 제거 후 패어진 홈까지 치료하는 것이 중요하며, 대부분 다른 염증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아 수술적 치료도 함께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코골이/ 수면무호흡증 개선
구취제거
급성(만성) 편도선염 개선
목의 이물감/통증 개선
수면장애 개선
일반적으로 심각한 합병증이나 후유증은 없으며 원활한
회복을 위하여 항생제와 진통제의 경구투여가 필요합니다.
전화번호
063-717-7575
월 - 금 09:00 ~ 17:30
토요일 08:30 ~ 12:00
점 심 12:30 ~ 13:30
일요일 / 공휴일 휴진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317
대표 : 양윤수 ㅣ 사업자등록번호 : 402-24-78020 ㅣ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쑥고개로 317
대표전화 : 063-717-7575 ㅣ 호스팅제공 : 크리박스
copyright2021. 베스트이비인후과